무자비한 알고리즘, 카타리나 츠바이크, 비윤리적투입, 추천 알고리즘, 인공지능, 나는네가 한 일을 알고있다, 투명성,인공지능의 사회적 책임, 기계 규칙, 머신러닝, 포털 뉴스

4 years ago
1

- 독일 슈피겔 베스트셀러
- 독일 아마존 베스트셀러

넷플릭스 영화 추천에서부터 포털의 뉴스 순위, 신용도 평가,
대입 전형, 기업 입사지원자 선발, 재범 및 테러 위험 예측까지

인공지능 시대, 누가 미래의 주도권을 잡을 것인가?
데이터가 만드는 세상, 알고리즘 바로 알기

알고리즘 윤리가 연일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머릿속까지 들여다보는 알고리즘, 인간을 마음대로 조종할 수도” “알고리즘, 미국을 무너뜨리다” “뜬금없는 유튜브 알고리즘에 피로감” “광고 퍼붓는 알고리즘, 노리는 건 결국 당신 지갑” “검색창에 CEO 치면 주로 남자, 알고리즘의 편향성 막아야” “알고리즘에 지배당한 인생, 자유의지대로 살고 있나?” “허점 드러난 AI 알고리즘… 포털 뉴스, 택시앱 이어 챗봇까지 논란” 등등 2021년 새해 주요 언론사 헤드라인을 장식한 기사 제목들만 봐도 그렇다. AI 알고리즘 기반 온라인 서비스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대함에 따라 여론의 양극화, 확증편향, 차별 등 역기능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공과대학 사회정보학 교수이자 독일연방의회 인공지능조사위원회 위원인 카트리나 츠바이크의 신간 『무자비한 알고리즘―왜 인공지능에도 윤리가 필요할까』는 알고리즘, 빅데이터, 컴퓨터지능, 머신러닝 등 정보기술에 관한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시각에 기초해 알고리즘의 기술적 토대를 설명함과 동시에 알고리즘의 투명성과 인공지능의 사회적 책임을 촉구하는 책이다. 저자는 책에서 흔히 가치중립적이라고 생각하는 기계 규칙인 ‘머신러닝 알고리즘’이 실제로는 많은 수작업을 요하며 인간이 변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 정확하고 객관적이라 생각한 데이터가 실은 충분하지 않고 오류나 차별이 끼어드는 경우가 그간 얼마나 많았었는지를 상세히 보여준다. 특히 인간과 관련된 알고리즘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이 막대한 손해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사용자의 개입과 감시가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책에는 최신의 과학 기술 원리와 용어 등이 등장하지만, 저자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강의하듯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알고리즘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떤 이유로 우려를 불러일으키는지 설명한다. 일상에 밀착된 예시, 흥미로운 비유와 유머를 적절히 동원해 친절하게 설명할 뿐 아니라 인공지능을 의인화한 캐릭터 카이가 등장하는 아기자기한 삽화가 곁들여져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차례

들어가는 말

1부 도구상자 :
인공지능 시스템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장 판단력이 떨어지는 로봇 재판관
2장 자연과학의 팩트 공장

2부 정보학의 작은 ABC :
알고리즘, 빅데이터, 컴퓨터지능은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가
3장 알고리즘, 컴퓨터를 위한 행동지침
4장 빅데이터와 데이터마이닝
5장 컴퓨터지능
6장 머신러닝 vs 인간(2:0)
7장 기계실에서 본 것들

3부 기계와 더불어 더 나은 미래로 가는 길 :
왜, 인공지능 윤리인가
8장 알고리즘과 차별, 그리고 이데올로기
9장 어떻게 감독할 수 있을까
10장 기계가 인간을 판단하는 걸 누가 원할까
11장 강한 인공지능은 필요할까

맺음말
감사의 말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