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을 찾아서, 최원식, 단재신채호, 수군제일위인 이순신, 충무공, 단재전집, 호걸, 성현, 대한매일신보, 임진왜란, 칠년전쟁, 벽초홍명희, 춘원이광수, 칼의노래, 불멸, 김탁환

4 years ago
1

1부 이순신 서사의 향방

제1장 단재로 가는 길
제2장 이순신 서사의 원점: 단재의 『수군제일위인 이순신』
1. 두 『이순신』
2. 『이순신』 이전
3. 만신전과 일신전
4. 임진왜란과 칠년전쟁
5. 문학적 전기
6. 영웅주의와 탈영웅주의
7. 호걸·성현
8. 전쟁의 시
제3장 『이순신』 이후
1. 벽초 홍명희의 『임꺽정』(1928~1939)
2. 환산 이윤재의 『성웅 이순신』(1931)
3. 춘원 이광수의 『이순신』(1931~1932)
4. 구보 박태원의 『임진조국전쟁』(1960)
5. 노산 이은상의 『성웅 이순신』(1969)
6. 김지하의 「구리 이순신」(1971)
7. 김탁환의 『불멸』(1998)
8. 김훈의 『칼의 노래』(2001)
9. 오다 마코토의 『소설 임진왜란』

2부 단재와 구보의 이순신

수군제일위인 이순신
水軍第一偉人 李舜臣

이충무공행록

지은이·옮긴이
최원식
1949년 인천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계명대와 영남대를 거쳐 1982년 인하대로 옮겨 2015년에 퇴임했으며, 현재 인하대 명예교수로 있다. 197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평론으로 등단하여, 『창작과비평』 편집주간, 민족문학사연구소 공동대표, 인천문화재단 초대 대표이사, 한국작가회의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민족문학의 논리』, 『문학의 귀환』, 『문학과 진보』, 『한국근대문학사론』, 『제국 이후의 동아시아』, 『문학』 등이 있고, 중역본 『文學的回歸』, 일역본 『韓國の民族文學論』, 『東アジア文学空間の創造』 등이 있다. 대산문학상, 임화문학예술상 등을 수상했다.

편집자 100자평
국난 극복의 영웅 이순신은 근대 이후 충신에서 민족, 국민의 영웅으로 바뀌는데, 그 변화의 시작이 단재 신채호의 『수군제일위인 이순신』이다.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