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교회, 원초적 성경, 제2의 성서, 이동진, 감추어진 성서, 헤로데와빌라도의 편지, 예수 부활의 보고서, 나자렛, 본디오, 로마, 갈릴리, 서기관, 바리새이인, 제사장, 백부장

4 years ago

빌라도의 보고서

"십자가 옆에서 ’말쿠스’가 말한 것처럼 나는 진실로 이 사람은 하나님의 아들이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본디오 빌라도-

이 보고서(報告書)는 메시아 시대에 법정에서 만들어진 공문서로서, 현재(現在) 터어키의 성(聖) 소피아 사원(寺院)에 소장되어 있다. 50권(券)으로 되어 있는 이 원고는 서기관(書記官)의 손으로 씌어졌는데, 각권이 2x4피트로 되어 있는 것의 전문(全文)을 옮긴 것이다.

로마의 역사가(歷史家) ’발레루스 파테르쿠러스’의 주(註)에 의한 원명(原名)은 ’예수의 체포와 심문 및 처형에 관하여 가이사에게 보낸 빌라도의 보고서’로 되어 있다. 예수가 태어났을 때 이 사가(史家)는 19세였으며, 그의 작품은 모두 소멸된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사가(史家) ’프리시안’과 ’타시투스’의 글을 빌면, 그는 캄파니아 출신으로 가이사와는 친한 벗이었고 16년동안 로마군(軍)을 지휘하였으며, 그후 로마로 돌아가 로마史 집필을 끝낸 후 집정관의 직책에 오랫동안 머물렀다고 전해진다.

사가(史家) 발레루스 자신이 유대지방에서 만난 [나자렛] 예수는 그가 만난 인물 중 가장 독특한 성격의 소유자로서, 자신은 전 군대보다도 예수를 더 두려워했다고 기록하였다. 예수는 모든 종류의 병자들을 치료하였으며, 죽은자를 살렸고, 그가 결실이 없는 과일나무를 저주하였을 때 그 나무는 즉시 뿌리까지 시들어 말라죽었다고 기록하였다. 예수는 그의 놀라운 능력을 타인(他人)을 해치기 위하여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항상 불쌍한 자들의 마음에 주의를 기울였다고 그는 기록하였다.

예수에 대한 유대인들의 여론은 양분(兩分)되었었다. 빈민층은 [로마의 권력으로 부터 구원해 낼 그들의 구원자로 여겨 왕으로 삼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지도층 계급의 유대인들은 예수를 증오하고 시기하였으며 등뒤에서는 그를 저주하였다. 그들은 예수를 죽음만큼이나 두려워하면서도 그를 에집트의 마술사라고 빈정거렸다고 사가(史家) 발레루스는 기록하였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도날드 N.리드만] 박사가 소정의 요금을 지불한 후 특별허가를 얻어 읽고, 영어 (英語)로 번역하여 [예루살렘]에서 간행(刊行)되고 있는 월간지 [더 마운트 자이언 리포터(The Mount Zion Reporter)]에 기고한 ’시온산 보고서(1974년.7월)’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로마의 황제 티베리오 각하에게

각하께 문안을 드립니다. 제가 다스리는 지역에서 최근 수년동안에 일어난 사건은 너무나도 독특한 일이어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우리 나라의 운명까지 변하게 할지도 모르는 일이기 때문에, 저는 사건이 일어난 대로 각하께 소상히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왜냐하면 최근에 발생한 사건은 모든 다른 신(神)들과는 조화될 수 없는 일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발레리우스 플라슈스]를 계승하여 유대총독이 된 날을 저주하고 싶을 정도입니다. 부임한 이래로 제 생활은 불안과 근심의 연속이었습니다. [예루살렘]에 도착하자 마자 저는 직위를 인수하고 큰 연회(宴會)를 베풀것을 명하고 [갈릴리]의 영주(領主)들과 대제사장 그리고 그의 부하 직원들을 초청하였습니다. 그런데 정한 시간이 되어도 아무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저는 이 사실을 저와 제가 속해있는 정부 전체에 대한 일종의 모욕으로 간주하였습니다.

며칠 후 대제사장이 저를 방문하였습니다. 그의 거동(擧動)은 엄숙(嚴肅)하였으나 외식(外飾)에 가득찬 것이었습니다. 그는 그들의 종교가 그와 그의 추종자들에게 [로마]사람들과 자리를 같이 하는 것이라든지 먹는 것이라든지 마시는 것을 금한다고 변명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변명은 신앙심이 깊은 체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그의 안색으로도 알 수 있었습니다.

나는 그의 변명을 받아들이는 것이 정략(政略)이라고 생각했습니다만, 그 순간부터 피정복자는 정복자를 적(敵)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신하게 되었으며, [로마]인들에게 이 나라의 제사장들은 요주의 (要注意)할 것을 경고해 주어야겠다고 생각하였던 것입니다. 그들은 자신의 벼슬과 호사스러운 생활을 위하여는 그들의 어머니라도 배신할 자들입니다. 제가 통치하는 모든 도시 가운데 [예루살렘]은 가장 다스리기 힘든 도시라도 여겨집니다. 백성들은 매우 거칠어서, 저 자신 순간순간마다 폭동의 두려움속에서 살아왔습니다. 저는 폭동을 진압할 만한 군대를 거느리고 있지 않습니다. 단지 저의 지휘하에 한 명의 백부장(百夫長)과 그가 거느린 군대가 있을 뿐입니다. 그리하여 저는 자기의 통치지역을 방어할 만한 충분한 군대를 거느리고 있다고 알려온 [시리아]의 사령관(司令官)에게 증원군을 요청하였습니다. 우리들이 이미 획득한 영토를 방어하는 일을 등한히 한다면, 우리 제국의 확장을 꾀하는 지나친 욕심은 결국 우리 정부 전체의 붕괴(崩壞)를 초래케하는 원인이 되지 않을까 하는 두려운 생각이 듭니다.

저는 가능한 한 대중들을 가까이 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그들 제사장들이 폭도들에게 어떤 영향력을 행사할 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저는 될수 있는 대로 백성들의 마음과 입장을 탐지하려고 노력하였던 것입니다. 제 귀에 들려온 여러가지 소문들 중에 특별히 제 주의를 집중시킨 사건이 한가지 있었습니다. 그것은 한 젊은 청년이 [갈릴리]지방에 나타나 그를 보내신 하나님의 이름으로 새로운 법을 고귀한 열정으로 가르치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처음에는 그의 목적하는 바가 민중을 선동하여 [로마]제국에 대항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해 보았습니다만, 제 근심은 곧 걷히게 되었습니다.

[나자렛 예수]는 유대인보다는 오히려 [로마]인에게 더 친근하게 말을 하였습니다. 어느 날 저는 큰 군중이 모여 있는 [실로]라는 곳을 지나다가 군중에 둘러싸인 한 젊은이가 나무에 기대어 선 채로 군중을 향하여 조용하게 연설하고 있는 것을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그가 예수라고 누군가가 일러 주었습니다. 그는 그의 연설을 듣고 있는 청중과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서 저는 그를 쉽게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그는 30세가량으로 보였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그렇게도 마음을 끄는 평온한 얼굴을 본 일이 결코 없었습니다. 예수와 그의 말을 경청하고 있는 저 검은 턱수염과 황갈색의 안색을 가진 무리들과 어떻게 대조할 수 있겠습니까?

제가 온 것이 예수에게 방해가 되지 않게 하려고 저는 계속 걸었으나 제 부관에게는 군중속에 들어가 그가 무슨 말을 하는지 들어보라고 지시하였습니다. 제 부관의 이름은 [만류스]로서 그는 [카타린]을 잡으려고 오랫동안 [에투루리아]에 주둔한 적이 있는 공작대장의 손자입니다. [만류스]는 [유대]지방에 오랫동안 거주한고로 [히브리]말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저에게 충성하여 저의 신임을 받고 있었습니다. 총독청에 들어서자 저는 먼저 와 있는 [만류스]를 발견하였으며, 그는 [실로]에서 예수가 한 말을 저에게 들려주었습니다. 제가 읽어 본 어떤 철학자의 작품에서도 예수의 말에 비교될 만한 것은 읽어 본 적이 없는 것 같았습니다. [예루살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반항적인 유대인 중 한 사람이 [카이사르(Caesar)]에게 세(稅)를 바치는 것이 옳은 것인가 아닌가 그에게 물었을 때, 그는 대답하기를 "카이사르의 것은 카이사르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에게 바치라고 하였다(마태 22,15-22; 마가 12.13-17; 누가 20,20-26)"고 하였다는 것입니다.

제가 그렇게 많은 자유를 그 [나자렛] 젊은이에게 허용한 것은 이와 같은 그의 지혜로운 말 때문이었습니다. 저에게는 그를 체포하여 [본디오]로 추방시킬 수 있는 권한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만일 그렇게 하였다면 그것은 [로마] 정부가 사람을 다루어 왔던 지금까지의 관례와는 상반되는 일이 되었던 것입니다. 이 젊은이는 선동적이거나 반항적인 사람은 아니었습니다. 저는 예수 자신도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은밀하게 보호의 손길을 그에게 뻗쳐 주었습니다. 그는 자유롭게 행동하였고 말하였으며 사람들을 모아서 연설하거나 또 제자를 선택하는 일에 있어서 어떠한 관청의 제재(制裁)도 받지 않았던 것입니다.

제가 생각하기로는 우리 조상의 종교는 예수의 종교로 대치될 것이며 이 숭고한 종교는 [로마]재국을 허망하게 붕괴시킬 것입니다. 그리고 가련한 저는 유대인의 말을 빌자면 하나님의 섭리요, 우리의 말대로 하자면 운명의 도구로 쓰여진 것일 것입니다. 예수에게 허용된 무제한의 자유는 가난한 사람들이 아니라 부유하고 권세있는 유대인들을 자극하였습니다. 예수가 후자들에게 가혹하게 대한 것은 사실이지만 제가 그 [나자렛] 젊은이의 자유를 제한하지 않은 것은 정략적인 이유에서였습니다.

"서기관과 바리사이인들이여," 그는 그들을 향하여 말하였습니다. "독사의 자식들아, 너희들은 회칠한 무덤같으니 겉으로는 아름답게 보이나 그안에는 죽음이 가득하다(마태 23,27-28)" 또 한번은 부자가 많은 헌금을 내고 뽐내는 것을 보고 한탄하며 가난한 자의 한푼이 하나님의 눈앞에서는 더욱 빛나는 것이라고 그들에게 말하였습니다. 예수의 오만한 언동(言動)에 대한 항의가 날마다 총독청에 줄을 이어 들어왔습니다.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