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터리 심리학, 책낭송, 책읽기, 대화가 모든 문제 해결, 가장 흔한 착각 중의 하나, 비언어 의사소통의힘, 솔직한 암시, 바디랭귀지, 내 맘을 나도 모른다, 심리치료 거짓사기

4 years ago
2

엉터리 심리학, 책낭송, 책읽기, 대화가 모든 문제 해결, 가장 흔한 착각 중의 하나, 비언어 의사소통의힘, 솔직한 암시, 바디랭귀지, 내 맘을 나도 모른다, 심리치료 거짓사기
Gesture
몸짓으로 개념을 연상시켜서 의사소통을 하는 방법이다.

말도 글자도 통하지 않는 곳에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수단이다. 한국인은 해당 국가의 언어를 모르는 외국으로 관광을 갔을 때나 반대로 한국어를 못하는 외국인 관광객이나 초보 외국인 노동자가 자기나랏말이나 뭘 물어보면 몸짓을 해가며 도와줘야 하는 일이 생기긴 한다.

몸짓언어는 화자들끼리 언어가 통하지 않을 때만 아니라 같은 언어를 구사하는 화자들의 대화에서도 사용된다. 대체로 거리나 시간의 문제, 혹은 보안 유지 목적 때문에 언어를 통해 소통이 불가능해 시각을 통해서만 소통이 가능한 경우에 사용한다. 스포츠에서 주고받는 수신호나 공항의 이착륙 지시, 단체 공연 관람중 혹은 비밀 사인 등이 그것이다.

수어와 몸짓언어는 다르므로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수어는 언어 요소를 완전히 갖추고 있는 소통 체계이며, 의미가 느슨하며 문법이 존재하지 않는 몸짓언어 와는 다른 것이다. 비록 '언어'라는 단어가 '몸짓언어'에 포함되어 있지만 몸짓언어는 언어가 아니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문화가 달라도 일정 부분이 어느정도 통용되어 다른 문화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런 몸짓 언어는 아무런 교육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도 기본적으로 학습되어 있고 심지어 일부 몸짓 언어는 영장류 및 유인원 계통 전체에 공통된 몸짓 언어가 몇 가지 있다. 이러한 사실은 찰스 로버트 다윈이 자신의 어린 아들과 유인원을 관찰하면서 발견했고 인간과 동물의 감정표현에 대하여라는 책을 저술 하였다.
잇몸이 다 드러나도록 이빨을 보이는 행위: 화가 많이 나서 공격할 것이라는 경고. 인간은 웃을 때도 이빨을 보이지만 잇몸이 보일 정도로 이빨을 내미는 행위는 한 눈에 봐도 화가 났다는 뜻이다.
미소 : 기분 좋을 때 하는 행위
얼굴 찡그림 : 기분 나쁠 때 하는 행위
노려보기 : 도전의 의미
시선 낮추기(눈깔기): 복종의 의미
손을 내미는 행위: 무언가를 요구하거나 손을 잡기를 기대할때
쓰다듬는 행위: 타 개체와의 친밀감을 표시하고 유대감을 깊게 함
포옹 : 타 개체와의 친밀감을 표시하고 유대감을 확인함
물건을 쥐고 바닥을 내리침 : 위협의 표시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