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mium Only Content
주역참동계, 위백양, 임명진, 단전시스템, 기맥, 연정화기, 연신환허, 허공합도, 동의보감, 단사, 외단, 황제노자, 오행, 천문, 노화, 인당, 내단학설, 서지학적분석, 오기조원
인문 역학/사주 역학 주역
인문 대학교재 심리학
대학교재 인문 심리학
『주역참동계』는 《참동계》의 내용분석을 통해 3가지 핵심키워드인 대역사상, 황노사상, 노화사상을 분석하고 나아가 의학적인 측면과 《동의보감》과의 관계, 여기에 관계된 오행사상과 천문학적 내용들을 연구하여 수록한 책이다. 《참동계》의 서지학적 분석을 고찰하고 구체적으로 내용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목차
내용
○● 책을 발간하며
○● 들어가는 말
○범 례●
第一部 주역참동계와 내단ㆍ외단사상
제1장 《주역참동계》의 내용분석
제1절 《주역참동계》의 서지학적 분석
제2절 대역사상大易思想
제3절 황노사상黃老思想
제4절 의학사상
제5절 오행五行사상
제6절 천문天文사상
제7절 한국의 참동계학
제2장 노화爐火사상의 동서양적 고찰
제1절 외단학설
제2절 내단학설
第二部 『周易?同契』
卷上
卷中
卷下
○●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
제 1 장 건곤문호(乾坤門戶)
乾坤者 易之門戶 衆卦之父母 坎離匡郭 運곡正軸
牝牡四卦 以爲탁약 覆冒陰陽之道 猶工御者 準繩墨 執銜비 正規矩 隨軌轍 處中以制外 數在律歷紀
月節有五六 經緯奉日使 兼幷爲六十 剛柔有表裏
朔旦屯直事至暮蒙 當受晝夜各一卦 用之依次序 旣未至昧爽 終則復更始
日月爲期度 動靜有早晩 春夏據內體 從子到辰巳 秋冬當外用 自午訖戌亥 賞罰應春秋 昏明順寒暑 爻辭有仁義 隨時發喜怒 如是應四時 五行得其理
건곤(乾坤)은 역(易)의 문호(門戶)로 모든 괘(卦)의 부모다. 감리(坎離)는 광곽(匡郭)으로 수레통을 움직이게 하고 굴대를 바로잡는다. 빈(牝)과 모(牡)의 네 괘는 그것으로써 풀무와 풀무의 상자가 된다. 음양(陰陽)의 도(道)를 도맡아 다스리는 일은 오히려 마부가 말의 재갈과 고삐를 잡고 표준에 따라 법칙을 지켜 수레바퀴 자리를 따라 안에서 밖을 제어(制御)함과 같다. 수(數)는 율력(律曆)의 기(紀)에 있다.
월절(月節)은 30이고 경위(經緯)는 태양의 명령을 받든다. 아우르고 합쳐져 60이 되고, 강(剛)과 유(柔)에 표리(表裏)가 있다. 초하루의 아침은 둔(屯)으로 일에 당하고, 저녁에 이르러서는 몽(蒙)으로 일을 받는다. 주야(晝夜) 각각 하나의 괘로 하여 그것을 사용함에는 차서(次序)에 의한다. 기(旣)와 미(未)에서 회상(晦爽)에 이르러 마치면 곧 다시 새로 시작한다.
일월(日月)은 규칙과 법도를 이루고 동정(動靜)에 조만(早晩)이 있다. 봄과 여름은 내체(內體)에 의거하고 자(子)로부터 진사(辰巳)에 이른다. 가을과 겨울은 외용(外用)에 해당하며 오(午)로부터 술해(戌亥)에 끝난다. 상벌(賞罰)은 봄․가을에 상응하고, 혼명(昏明)은 추위와 더위에 따른다. 효사(爻辭)에 인의(仁義)가 있고, 때에 따라 희로(喜怒)를 발(發)한다. 이와 같이 사시(四時)에 순응하여 오행(五行)이 그 이치를 얻는다.
제 2 장 감리이용(坎離二用)
天地設位 而易行乎其中矣 天地者 乾坤之象也 設位者 列陰陽配合之位也 易謂坎離 坎離者 乾坤二用 二用無爻位 周流行六虛 往來旣不定 上下亦無常 幽潛淪匿 變化於中 包裏萬物 爲道紀綱
以無制有 器用者空 故推消息 坎離沒亡
言不苟造 論不虛生 引驗見效 校度神明 推類結字 原理爲徵
坎戊月精 離己日光 日月爲易 剛柔相當 土旺四季 羅絡始終 靑赤白黑 各居一方 皆稟中宮 戊己之功
천지(天地)에 자리를 설정하고 역(易)이 그 속에 행해진다. 천지는 건곤(乾坤)의 형상이다. 자리를 설정한다는 것은 음양(陰陽)을 배합(配合)하는 자리를 배열하는 것이다. 역(易)은 감리(坎離)를 이른다. 감리는 건곤의 두 가지 작용이다. 두 가지 작용은 효위(爻位)가 없이 두루 흘러 육허(六虛)를 순행한다. 오고 감이 이미 정해지지 않고, 위아래가 또한 항상하지 않는다. 유잠 윤익(幽潛淪匿)하여 속에서 변화한다. 만물을 감싸서 도(道)의 기강(紀綱)이 된다.
무(無)로써 유(有)를 만들어내고, 그릇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비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소식(消息)을 미루어 헤아리면 감리(坎離)는 몰락하여 없어진다.
언(言)은 구차히 만들어지지 않고 논(論)은 헛되이 생기지 않는다. 증험을 들어 효과를 보이고, 신명(神明)을 헤아리고, 동류(同類)를 미루어 문자(文字)를 결합하고, 도리를 궁구하여 증명한다.
감무(坎戊)는 달의 정화(精華)요, 이기(離己)는 해의 광명이다. 일(日)과 월(月)을 결합하여 역(易)을 만들고, 강(剛)과 유(柔)가 서로 적당하다. 토(土)는 네 계절에 왕성하고 처음과 끝을 감싸고 휘감는다. 청(靑), 적(赤), 백(白), 흑(黑)이 각각 한쪽 방향에 있고, 모두 중궁(中宮)인 무기(戊己)의 공(功)을 받는다.
성인(聖人)은 헛되이 나지 않고, 위로 분명한 천부(天符)를 본다. 천부에 진퇴(進退)가 있고 굴신(屈伸)으로써 시후(時候)에 응(應)한다. 그러므로 역(易)은 천심(天心)을 거느리고 복괘(復卦)는 처음의 양이 세워진다. 장자(長子)는 부(父)의 체(體)를 계승하고, 모(母)에 의거해 조짐의 터전을 세운다. 소식(消息)은 종률(鍾律)에 응하고 승강(升降)은 두추(斗樞)에 의거한다.
3일만에 나오는 것을 상(爽)이라 하고 ☳진(震)은 경(庚)인 서방(西方)에서 받는다. 8일에 ☱태(兌)가 정(丁)에서 받는다. 상현(上弦)은 평평하기 먹줄과 같다. 15일에 ☰건(乾)이 몸을 이루어 동방인 갑(甲)에 왕성하게 차다. 섬여(蟾여)라 하고 토백(兎魄)이라 한다. 일월(日月)은 아울러서 밝다. 섬여는 괘절(卦節)을 보고, 토(兎)는 생광(生光)을 토(吐)한다. 15일에 도(道)는 이미 끝나고 굴신(屈伸)하여 낮게 하강(下降)한다. 16일에 전(轉)하여 처음의 근본을 받아 ☴손(巽)은 신(辛)인 평명(平明)에 나타난다. ☶간(艮)이 남쪽 병(丙)에 당하여 하현(下弦)이 되는데 23일이다. ☷곤(坤)은 30일로 을(乙)인 양로(陽路)에서 그 밝음을 잃는다. 절(節)이 다하여 서로 양보하고 형체를 이어서 또 용(龍)을 생한다. 임계(壬癸)는 갑을(甲乙)에 배당되고, 건곤(乾坤)은 시종을 포괄한다. 7(七)과 8(八)의 수는 15요, 9(九)와 6(六) 또한 서로 같다. 사자(四字)를 합치면 30이 되고, 역상(易象)은 다하여 없어진다.
저 중동(仲冬)의 게절에 초목(草木)은 모두 시들어 버리는 상(象)이다. 양(陽)을 도와 상려(商旅)를 단속하고 군주는 깊이 스스로를 감출 것이다. 시후에 상(象)하고 계절의 영(令)에 따라 입을 다물고 담론(談論)을 하지 않는다. 천도(天道)는 매우 호광(浩廣)하고 태현(太玄)은 형용(形容)이 없다. 허적(虛寂)하여 볼 수 없고, 광곽(匡郭)으로써 소망(消亡)한다. 잘못하면 일의 단서를 잃고 말이 도리어 스스로 패상(敗傷)한다. 따로 이 사상(四象)을 서술하여 그것으로써 후생(後生)의 어둠을 깨우친다.
제 5 장 군신어정(君臣御政)
八卦布列曜 運移不失中 元精묘難覩 推度效符徵 居則觀其象 準擬其形容 立表以爲範 占候定吉凶 發號順節令 勿失爻動時 上觀河圖文 下察地形流 中稽於人心 參合考三才 動則依卦變 靜則循彖辭 乾坤用施行 天地然後治
可不愼乎 御政之首 管括微密 개舒布寶 要道魁杓 統化綱紐 爻象內動 吉凶外起 吾緯錯順 應時感動 四七乖戾 치離仰俯 文昌統錄 詰責台輔 百官有司 各典所部
日含五行精 月受六律紀 五六三十度 度竟復更始 原始要終 存亡之緖 或君驕溢 亢滿違道 或臣邪녕 行不順軌 弦望盈縮 乖變凶咎 執法刺譏 詰過貽主 辰極處正 優游任下 明堂布政 國無害道
팔괘(八卦)는 열요(列曜)를 펴서 운이(運移)하여 중심을 잃지 않는다. 원정(元精)은 아득하여 보기 어렵고, 추탁(推度)하여 부징(符徵)을 생각한다. 거(居)하면 곧 그 상(象)을 보고, 그 형용(形容)에 준의(準擬)한다. 표(表)를 세워 써 표준을 삼고, 점을 쳐 길흉(吉凶)을 정한다. 발호(發號)하여 절령(節令)에 따르고, 효(爻)의 움직이는 때를 잃지 말라. 위로는 하도(河圖)의 문(文)을 보고, 아래로는 지형(地形)의 흐름을 살피며, 가운데로는 인심(人心)을 상고하여 셋이 합해진 삼재(三才)를 생각한다. 동(動)하면 곧 괘변(卦變)에 의하고, 정(靜)하면 곧 단사(彖辭)에 따른다. 건곤(乾坤)의 용(用)이 베풀어 행해져 천지(天地)는 그러한 뒤에 다스려진다.
삼가지 않을 것인가. 어정(御政)의 수(首)를 관괄(管括)하여 미밀(微密)하고, 개서(개舒)하여 보(寶)를 펴다. 요도(要道)는 괴표(魁杓)에 있으니, 통화(統化)의 강뉴(綱紐)다. 효상(爻象)은 안에서 움직이고, 길흉은 밖에서 일어난다. 오위(五緯)의 착순(錯順)은 때에 따라 감동한다. 사칠(四七)의 괴려(乖戾)는 앙부(仰俯)에 치리(치離)한다. 문장(文昌)은 통록(統錄)하고, 힐책(詰責)하는 태보(台輔)가 있다. 백관(百官)과 유사(有司)는 각각 부서를 관장한다.
해는 오행(五行)의 정(精)을 함유(含有)하고, 달은 육률(六律)의 기(紀)를 받는다. 오륙삼십도(五六三十度), 도(度)가 끝나면 또다시 시작한다. 처음을 찾아 끝을 구(求)함은 존망(存亡)의 서(緖)이다. 혹(或)은 군주가 교일(驕溢)하여 항만(亢滿) 도(道)를 어기고, 혹은 신하가 사녕(邪녕)하여 행함이 궤(軌)를 따르지 않는다면 현망(弦望)이 영축(盈縮)하여 괴변(乖變)과 흉구(凶咎)가 있다. 법(法)을 잡아 자기(刺譏)하며, 허물을 힐문(詰問)하여 주(主)에게 보낸다. 신극(辰極)이 바르게 처(處)하고, 우유(優游) 아래에 임(任)한다. 명당(明堂)에서 정사를 펴고, 국가에는 도(道)를 해치는 자 없다.
제 6 장 연기입기(鍊己立基)
內以養己 安靜虛無 原本隱明 內照形軀 閉塞其兌 築固靈株 三光陸沈 溫養子珠 視之不見 近而易求
黃中漸通理 潤澤達肌膚 初正則終修 幹立末可持 一者以掩蔽 世人莫知之
上德無爲 不以察求 下德爲之 其用不休 上閉則稱有 下閉則稱無 無者以奉上 上有神德居 此兩孔穴法 有無亦相胥
황중(黃中)하여 점차로 통리(通理) 윤택(潤澤)하여 기부(肌膚)에 달(達)한다. 처음이 바르면 곧 끝이 닦아지고, 줄기가 서면 말(末)이 유지된다. 일자(一者)로써 엄폐(掩蔽)하여 세인(世人)은 그것을 알지 못한다.
-
1:43
GreenMan Studio
13 hours agoWEAK MEN W/Greenman Reports
693 -
LIVE
BEK TV
1 day agoTrent Loos in the Morning - 11/28/2025
127 watching -
20:39
Forrest Galante
11 hours agoCatching A Giant Crab For Food With Bare Hands
93.9K23 -
26:01
MetatronHistory
4 days agoThe REAL History of Pompeei
7.55K3 -
15:42
Nikko Ortiz
1 day agoPublic Freakouts Caught On Camera...
117K34 -
21:57
GritsGG
16 hours agoHigh Kill Quad Dub & Win Streaking! Most Winning CoD Player of All Time!
8.23K -
5:44
SpartakusLIVE
19 hours agoARC BOUNTY HUNTER #arcraiders
14.7K2 -
15:50
MetatronCore
2 days agoMy Statement on Charlie Kirk's Shooting
11.1K8 -
LIVE
Lofi Girl
2 years agoSynthwave Radio 🌌 - beats to chill/game to
747 watching -
3:31:12
Price of Reason
14 hours agoThanksgiving Special - Is Stranger Things 5 any good and other SURPRISES!
119K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