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mium Only Content
만들어진 유대인, 슐로모 산드, 개인의 기억, 슐렉, 오래된 신앙, 회당, 전통사회, 독일군인,토라,선동죄, 하자르, 에트노스, 인종주의, 시오니즘, 랍비, 헬레니즘, 아라비아
들어가는 글: 기억이라는 짐
1. 움직이는 정체성
2. 구성된 기억들
제1장 민족 만들기 - 주권과 평등
1. ‘민중’인가 ‘종족’인가
2. ‘민족’을 의심한 사람들
3. ‘이데올로기’인가 ‘정체성’인가
4. 시민적 민족주의 대 종족적 민족주의
5. 민족의 ‘군주’ 지식인
제2장 역사가 된 신화 - 하느님이 만드신 민족
1. 초창기 유대 역사가들
2. ‘신화역사’로서의 구약성서
3. “인종이 곧 민족이다”
4. 어느 역사가의 반박
5. 동쪽에서 나타난 원-민족주의
6. 서쪽에서 나타난 종족주의
7. 시온에서 시작된 역사학
8. 정치와 고고학
9. 신화역사를 배반하는 증거들
10. 비유문학으로서의 성서
제3장 너무 많은 유대인 - 유배 때문인가, 개종 때문인가
1. 서기 70년에 일어난 일
2. 추방 없는 유배 - 불가사의한 역사
3. 왜 고향을 떠났을까?
4. 만방이 그리로 모여들 것이라
5. 이웃들을 강제로 개종시키다
6. 헬레니즘 권역에서 메소포타미아 땅까지
7. 로마의 그늘 아래서
8. 랍비 유대교는 개종을 어떻게 보았을까
9. 유다지역 사람들의 슬픈 운명
10. ‘땅의 사람들’의 정체
제4장 침묵의 왕국들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행운의 아라비아’ - 힘야르 왕국의 개종
2. 페니키아인과 베르베르인 - 수수께끼의 여왕 카히나
3. 유대인 카간 - 동쪽에서 일어난 이상한 제국
4. 하자르인과 유대교 - 밀월의 시작과 끝
5. 하자르 과거를 어떻게 볼 것인가?
6. 수수께끼 - 동유럽 유대인의 기원
제5장 구별하기 - 이스라엘의 정체성 정치
1. 시오니즘과 유전
2. 꼭두각시 과학과 인종주의 난쟁이
3. ‘에트노스’ 국가 수립
4. ‘유대적이면서 민주주의적’이란 네모난 동그라미인가?
5. 글로벌 시대의 ‘종족정’
후기: 땅 없는 민중, 민중 없는 땅 - 비판에 답함
주 / 참고문헌 / 감수의 글
찾아보기
추천사
에릭 홉스봄
“슐로모 산드의 『만들어진 유대인』은 반가운 책이다. 이 책은 특히 이스라엘 안에서 민족주의 역사학의 신화를 해체하는 데 꼭 필요한 학습서인 동시에, 이스라엘이 모든 주민에게 평등하게 속하는 나라가 되기를 바라는 탄원서이다. 열정과 박식함을 겸비한 이 책으로 정치 상황이 바뀌지는 않겠지만, 만약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 이 책은 하나의 뚜렷한 이정표 역할을 할 것이다.” 닫기
토니 주트
“슐로모 산드가 놀라운 책을 썼다. 그는 냉철하고도 학술적인 필치로 아주 간단하게 유대 역사를 표준화했다. 추방되고, 고립되고, 방황하다가 마침내 고향 땅으로 돌아갈 특별한 운명을 지닌 민족이라는 믿기 어려운 신화 대신, 그는 유대인의 역사를 재구성하고 그 역사를 인류의 보편적 역사에 설득력 있게 재통합했다. 다른 여러 나라들의 과거와 마찬가지로, 현재의 갈등을 일으키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해온 유대인의 과거는 결국 이기적이고 대부분 상상에 지나지 않는 발명품임이 드러났다. 현대 중동을 이해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책을 읽어야 한다.” 닫기
가라타니 고진
“산드는 ‘유대인의 기원’을 묻는다. 이 책의 원제는 『유대인의 발명』인데, 유대 민족과 인종은 19세기 유럽의 내셔널리즘 속에서 말 그대로 ‘발명된’ 것이다. 그 역사적 기원을 보면, 유대인이란 유대교도일 뿐 ‘민족’과는 하등의 관계가 없다. 유대인이 로마제국, 아프리카, 러시아 지역에 이르기까지 널리 늘어난 것은 추방 때문이 아니라 유대교 개종자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오니스트들은 그것을 ‘민족의 역사’로 바꿔치기했다. 이 책을 읽음으로써 우리는 현대 세계의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얻을 것이다.” 닫기
더욱 결정적인 것은 이스라엘 국가 수립 이전에 팔레스타인에 거주하던 아랍인들이다. 그들은 7세기 무렵 아랍인의 팔레스타인 점령 후 이슬람으로 개종한 유대 농민들의 자손일 가능성이 높다.(332쪽, 339쪽) 다시 말해, 이스라엘 유대인들이 그토록 배척하는 팔레스타인인의 뿌리가 사실은 유대인과 다르지 않다는 것은 시오니스트들조차 인정하는 사실이었다는 것이다.(344쪽)
■ 시오니즘의 탄생 배경과 유대 종족주의의 위험성
유대인으로 불리는 오랜 종교공동체가 종족공동체로 교묘하게 탈바꿈한 데는 시오니스트 민족주의자들의 정치적 이해가 숨어 있었다. 저자는 민족주의 열기가 들끓던 19세기 유럽에서 ‘민족’ 개념이 발명되고 ‘시오니즘’이라는 유대 민족주의가 형성된 과정을 촘촘히 그려낸다.
‘민족’은 종교가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더 이상 힘이 되어주지 못하는 근대 세속화 시대에 종교를 대신하여 안정된 정체성을 제공하는 이념으로 등장했다.(100쪽) 그래서 한 민족에 속하는 한 똑같은 민중이라는 민족의식은 시작부터 ‘평등’이라는 민주주의 이념을 내재하고 성장했다.(92쪽) 그러나 시민적 평등권이 우선 정착된 서유럽(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과 달리, 상대적으로 민주주의 정착이 늦었던 동유럽(독일 폴란드 러시아 등)에서는 종족적 민족주의가 먼저 득세하였다. 독일의 아리안주의나 러시아와 동유럽의 슬라브주의 같은 종족적 민족주의의 배타성이 결국 조직적인 유대인 탄압을 불러 일으켰고, 시민적 평등권을 요구하던 유대인들로 하여금 ‘시오니즘’이라는 대항적 민족주의를 탄생시킨 배경이 되었다는 것이다. 요컨대 유대 민족주의는 그들을 핍박하던 종족 민족주의의 거울상으로 형성된 것이었다.(104쪽 이하)
슐로모 산드는 이렇게 ‘유대 민족’이란 것이 19세기 독일과 동유럽에 거주하던 유대 지식인들이 만들어낸 창작품임을 보여주는 데서 시작해서, 이스라엘 국가수립과 함께 그것이 정치적, 학문적으로 어떻게 강화되었는지 설명한다. 시오니스트들이 유대 역사를 창작하기 위한 보물창고로 발견한 것이 바로 구약성서였다. 이민족을 물리친 구약 영웅들의 신화가 중동전의 승리를 고무하는 데 이용되었고, 고고학이 고대 왕국의 신화를 사실로 재현하는 데 동원되었다.(제2장) 나아가 19세기 인종주의를 뒷받침하던 생물학은 20세기 유전학으로 옷을 바꿔 입고 ‘유대 유전자’의 연속성을 입증해주는 과학(유사과학)으로 재등장하기까지 한다.(제5장)
산드는 이 모든 역사 창작이 현재 이스라엘의 정치를 지탱하는 수단으로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전 세계 유대인에게는 아무런 제한 없이 시민권을 부여하면서 자국 내 비유대인에게는 심각한 차별을 가하는 나라, 세속적 민주주의 국가를 표방하면서도 ‘이스라엘 민중’의 존재를 부정하고 유대인들만의 신정 국가임을 포기하지 못하는 나라가 이스라엘이다. 민족이란 같은 문화와 경험에 대한 공통의 ‘감각’이지 ‘실체’가 아니다. 이 책은 민족이라는 의식이 실체가 되고 국가 이념이 될 때 자국과 이웃에 대한 차별과 폭력을 정당화하는 극히 위험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유대인의 발명’과 ‘이스라엘’은 그 대표적인 사례일 뿐이다.
■ 이 책의 전체적 개요
방대한 분량으로 쓰인 이 책을 몇 문단으로 요약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때로는 흥미진진하게, 때로는 복잡하게 서술된 이 책의 핵심만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이 책의 서장(序章) 역할을 하는 「들어가는 글」은 저자의 개인적 경험을 담고 있다. 저자의 가계, 청년기의 아랍인 친구들, 그리고 제자들의 일화를 통해 ‘민족’과 결부된 정체성과 기억이 개인에게 얼마나 큰 폭력을 행사하는지를 실감 있게 묘사한다.
제1장과 제2장은 유대 민족을 소재로 하여 민족주의 담론의 역사를 다룬 내용이다. 민족주의가 처음부터 민주주의적 평등 개념을 내장하고 태어난 이념이라는 것, 그러나 ‘민족’이란 말이 ‘민중’, ‘백성’ 등의 용어와 혼용되면서 마치 고대부터 있었던 실체로 착각한 데서 민족 개념을 둘러싼 역사적 오류가 빚어졌다고 설명한다. 이와 함께 성서 신화가 신뢰할 만한 역사서로 자리 잡는 데 이바지한 초창기 유대 역사가들의 이론적 작업이 상세히 소개된다. ‘디아스포라’와 고대 영토가 종교적 상징에서 정치적 의미로 전용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시오니스트 역사학자들의 계보가 소개된다.
제3장과 제4장은 하나의 일관된 역사로 이해되어 온 유대 역사의 허구를 밝히는 작업이다. 유대 역사의 목적론적 핵심을 구성하는 추방과 유배 사건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고, 고립주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유대교가 원래는 개종에 열성적인 종교였음을 밝힌다. 포교와 개종 과정에서 생겨난 이민족 유대왕국들이 근대 유럽 유대인들의 모태가 되었고 디아스포라 유대인의 기원이 되었음을 설명한다.
제5장은 결론부이다. 5장에서는 현대 이스라엘의 정치와 학문적 동향을 다룬다. 한편으로는 저명한 법학자들과 철학자들이 나서서 시민적 정체성과 법적 자격을 유대인에 국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음을 고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역사학뿐 아니라 과학계까지 나서서 유대인의 유전학적 동질성을 입증하려는 유사과학적 시도를 벌이고 있는 데 대해 통렬한 비판을 가한다.
책의 마지막에 실린 「후기」는 『만들어진 유대인』이 출간된 후 책에 가해진 여러 비판에 대해 저자가 답하는 글이다. 유대인 단일 민족설에 대한 재반박, 유배 사실에 대한 반증, 히브리인과 팔레스타인인의 역사적 동질성, 유대인 유전자설에 대한 논박,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대인이 아닌 ‘이스라엘 민중’의 존재에 대한 승인을 주장한다. 이 후기는 책 전체를 요약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
32:55
cosmosrich1
3 years ago로스차일드 이야기, 홍익희, 자본주의, 청어, 네덜란드, 발트해, 소금, 생선, 이리, 스페인, 유대인,해군, 자본주의,저금리, 독립전쟁, 종교개혁, 민병대, 빌럼1세, 동인도회사
2 -
32:10
cosmosrich1
3 years ago성경속 궁금증, 허영엽, 모세오경, 창세기, 탈출기, 토라, 율법서, 민수기, 신명기, 칠십인역, 땅지배, 가나안, 라헬, 라반, 수호신, 우상숭배, 매매춘, 제물, 카인, 아벨
3 -
56:00
Julie Green Ministries
1 hour agoTHE REAL REASON PRESIDENT TRUMP NEVER CONCEDED THE 2020 ELECTION
1.83K50 -
LIVE
Game On!
16 hours ago2025 Sports Equinox Did NOT Disappoint!
296 watching -
7:02
Adam Does Movies
17 hours ago $4.53 earnedIT: Welcome To Derry Episode 1 - Review
18K2 -
9:05
Millionaire Mentor
15 hours agoTrump EXPOSES Obama and Biden LIVE As Jim Jordan Backs Him Up
3.36K5 -
1:34
WildCreatures
1 day ago $3.92 earnedMajestic Spotted Eagle Rays Fly Past Scuba Diver in the Galapagos Islands
4.91K6 -
LIVE
BEK TV
22 hours agoTrent Loos in the Morning - 10/28/2025
177 watching -
32:13
Stephen Gardner
14 hours ago🔥Schumer SHUTDOWN Backfires as Trump CRUSHES Democrats!!
49K24 -
30:24
Liberty Hangout
7 days agoNo Kings Protestors Go CRAZY: Part 1
46.9K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