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의 흥기, 이중톈, 중국사, 해라클리우스,아르메니아인, 동로마제국, 아프리카총독, 교회, 늙은황제, 원로원의원, 전면개혁, 육조혜능, 부정의부정, 진경, 정토,이슬람교,무함마드

2 years ago

목차
제1장 비잔티움
흔들리는 제국
예수를 둘러싼 고민
유배된 교황
하느님의 분노
야만인에게 황관을 씌워주다

제2장 아랍
반도
선지자
이슬람
제국
바그다드와의 이별

제3장 선
진경과 정토
선종 이야기
육조 혜능
그 자리에서 바로 부처가 되다
부정의 부정

제4장 불교의 중국화
법난과 개혁
세상 속의 불법
시대정신
자유로 통하는 길
중국을 바꾸다

제5장 새판을 짜다
훼방
지중해
세계로 향하다
왕권과 교권
좋은 기회를 놓치다

옮긴이의 말│‘번체자 회복론’에 대한 이중톈의 입장 _246
부록│『선종의 흥기』에 언급된 사건의 연표 _253
접기
책 속으로
『이중톈 중국사 14: 선종의 흥기』가 이중톈 중국사 시리즈의 ‘제3부 세계문명권’의 두 번째 바통을 이어받았다. 수양제가 남북 대운하를 개통했을 때 이슬람교의 선지자 무함마드는 하늘의 계시를 받았고 헤라클리우스는 비잔티움의 황제가 됐다. 이때부터 짜인 새판의 세계는 위풍당당한 3대 제국의 무대가 되었고 동시에 종교와는 불가분의 관계가 된다. 전 지구적인 시각에서 볼 때 중국의 수·당 시기는 기독교와 이슬람이 꽃을 피우면서 인류가 문화적인 대약진을 할 수 있던 시대였다. 중국에도 종교라는 꽃이 피지 않을 수 없다. 이미 중국에 들어온 불교라는 외국의 종교는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고 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비잔티움의 기독교, 무함마드의 이슬람, 당나라의 불교는 어떻게 세계의 종교가 된 것일까? 이중톈의 생생한 가이드에 사유를 맡기고 세계 종교의 시대에 빠져보자.

기독교- 예수라는 골칫덩이
동로마의 황제 헤라클리우스가 로마의 오랜 골칫덩이인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이교도와의 씨름은 잠잠해졌다. 하지만 기독교는 계속 시끄러웠다.

“그렇다면 예수는 대체 인간인가, 신인가? 아니면 인간이면서 신인가? 그의 본성은 또 무엇인가? 신성인가, 인성인가? 신성만 있거나 인성만 있는 것인가, 아니면 온전한 인성도 있고 온전한 신성도 있는 것인가? 예수는 정말 사람들을 골치 아프게 했다.” -22쪽

보이지도 않는 하느님이 평범한 인간을 임신시켜 탄생한 ‘예수의 정체성’ 논쟁이 시작됐다. 하느님이 성부, 성자, 성령이라는 세 위격으로 존재한다는 학설인 ‘삼위일체론’이 제시됐고 그래서 하느님이 육신으로 화한 구세주, 즉 예수는 곧 성자라는 결론으로 논쟁은 마무리 될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으로도 완벽하게 설명이 불가능했다. 만약 예수(성자) 또한 그렇게 하느님이 된다면 하느님은 유일해지지 않아 기독교는 다신교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수는 신성과 인성 모두 공존한다고 주장하는 쪽과 예수의 본성은 둘 중 하나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는 두 계파로 갈라졌다.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