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7.[Geo-Physical] Geoseeker

3 months ago
53

The thumbnail of this video shows a cavern 30 meters underground. The signal in this thumbnail is an image from a Geoseeker single point scan taken on October 13, 2015. According to the dowsers, there is a North Korean invasion tunnel here in Jigeum-dong, Namyangju-si (South Korea).

The maximum depth of 250 m for the geoseeker that measures the resistivity of the multilayered media is usually 50 m shallower than the 'apparent' tunnel line attached to the DUMBs. The dowser estimates the minimum depth of the DUMBs to be 500 m and the maximum depth of the DUMBs to be 4 km based on his own exploration.

As already mentioned, the distinction between a DUMBs and an 'apparent' tunnel attached to it is an arbitrary and self-imposed technical distinction of the dowser, and has no absolute meaning.

Anyway, a geoseeker with a maximum exploration depth of 250m cannot detect a signal from a DUMBs. As of May 2025, the only ways for a dowser to detect a DUMBs are dowsing first and then the XL16 Imager Pro. Even with the latter, it can only occasionally detect a DUMBs signal when the geomagnetic conditions are good. However, with dowsing, whether it is map dowsing, indirect dowsing, or direct dowsing, it can in principle detect any DUMBs signal in the Earth, anytime, anywhere.

이 동영상의 썸네일은 지하 30m에 동공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 썸네일의 시그널은 2015년 10월 13일에 행해진 지오시커 싱글지점 스캔 이미지이다. 다우저들에 따르면 남양주시 지금동(남한)의 이곳에 북한남침땅굴이 있다.

여러 층을 이루는 매질들의 비저항 값을 측정하는 지오시커의 탐사 가능한 최대 깊이 250m는 덤에 붙는 '겉보기' 땅굴라인 보다 보통 50m 더 얕다. 그 다우저는 자신의 탐사에 근거하여 덤의 최소 심도를 500m로, 그리고 덤의 최대 심도를 4km로 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언급된 것처럼 덤과 그리고 덤에 붙는 겉보기 땅굴의 구분은 그 다우저의 임의적이고 자의적인 테크니컬한 구분일 뿐 그것에 절대적 의미는 없다.

아무튼 탐사 최대 깊이가 250m인 지오시커로는 덤에서 오는 시그널을 잡아 낼 수 없다. 2025년 5월 현재 그 다우저가 덤을 잡아 내는 방법은 먼저는 다우징이요 그 다음에는 XL16 이미저 프로이다. 그나마 후자로는 지구자기적 조건이 맞아 떨어질 때야 가능하기 때문에 가끔 덤의 시그널을 잡아 낼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다우징으로는 그것이 맵 다우징이든, 간접 다우징이든, 직접 다우징이든 언제든지 어디서든 지구 안에 있는 그 어떠한 덤의 시그널도 원리적으로는 잡아 낼 수 있다.

Loading 1 comment...